google-site-verification=2G3O-eTKke-6RjNr7KqSHFi2JnJluvbF9sBo95WEpXg 메타 디스크립션 이해하기 - 디스크립션 작성 팁과 활용 방법
본문 바로가기
블로그 이야기

메타 디스크립션 이해하기 - 디스크립션 작성 팁과 활용 방법

by !%&*@$ 2021. 10. 8.

포스팅 내용을 파악할 수 있는 디스크립션은 사용자의 유입과 클릭률을 높이는 데 중요합니다. 디스크립션이란 무엇인지, 이를 이용하여 광고 클릭을 유도할 수 있는 활용 방법까지 알아보겠습니다.

 

 

메타 디스크립션


구글 검색 엔진 최적화 (SEO)를 위한 기본 가이드 중 하나인 메타 디스크립션은 포스팅 내용을 설명하는 글입니다. 검색창에 찾으려는 정보나 키워드를 입력하면 웹사이트와 블로그, 뉴스 등 여러 콘텐츠가 한 페이지에 나오는데요.

이때, 콘텐츠 별로 나열된 제목과 함께 제목 아래에 간략한 글로 구성된 부분이 디스크립션입니다. 디스크립션을 통해 검색자는 필요한 정보를 얻고, 게시자는 '내 포스팅은 이런 내용이다'라고 어필할 수 있는 장치인 셈입니다.

검색자나 게시자의 입장에서 디스크립션은 중요합니다.


 

디스크립션 작성 팁


위에서 이야기한 것처럼 디스크립션은 간략하게 구성되기 때문에 포스팅에서 이야기하려는 주제를 잘 담아야 합니다. 검색자는 디스크립션으로 포스팅 내용을 가늠하게 되는데 제목과 다른 주제로 관련 없는 이야기를 첫 문장에 작성한다면 볼 필요가 없겠죠.

구글에서는 포스팅을 정확하게 요약할 것을 권장하고 있습니다.

그리고 제목과 디스크립션에 키워드를 넣어 작성하면 포스팅에 대한 정보를 구글이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어서 검색자가 원하는 정보를 찾도록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.

그렇다면 디스크립션은 몇 글자를 적는 것이 적당할까요?

유튜브나 블로그에서는 25자에서 160자로 이야기하는데 구글에서는 사용자의 환경에 따라 디스크립션의 길이가 달라질 수 있어서 글자 수에 대해서는 규정짓지 않았습니다.

(한두 문장 또는 짧은 단락 정도로 길어질 수 있다고 되어있음.)

그 대신 관련성 있는 정보를 담도록 권하고 있는데요. 포스팅 주제가 잘 드러나면서 짧고 간결하게 적는 것이 좋겠습니다.


 

디스크립션 활용 방법


네이버나 다음은 정보 검색이 쉽고 보기 편하지만 정보성 포스팅을 찾기가 어렵습니다. 제목은 내가 원하는 정보인데 막상 읽어보면 정보는 커녕 아무 말 대잔치만 늘어놓는 블로그들이 대부분이에요.

그래서 우리는 이 틈을 노려야합니다. 검색자들이 궁금하고 꼭 필요한 내용을 담은 정보성 포스팅을 찾을 때 잘 작성한 디스크립션으로 내 포스팅을 클릭하게끔 만드는 것이죠.

물론 본문 내용도 알차야하고요.

그리고 디스크립션을 읽는 동안에 사용자가 광고에 노출되게 디스크립션 아래에 광고를 배치해서 클릭을 유도하는 것도 하나의 활용 방법입니다.

저도 이 방법으로 테스트 중인데 효과가 있으면 좋겠어요.

 


여러분도 메타 디스크립션의 기능을 적극 활용해보세요.





댓글